시멘틱 사용 이점
- 웹 접근성 향상
- 가독성 향상 및 유지보수 편리
- 검색엔진 최적화
div 태그에 class ="header","footer","main" 이런식으로 하는 것보다 body , header , main, footer 식으로 관리하는게 편하다
종류 (자주 사용하는거 간단하게..)
- header : 페이지에 대한 정보 담는 태그 , 페이지 상단 위치
- nav : 페이지와 전체적으로 관련성은 있지만 세부 내용과는 직접적인 연관 없는 분리 된 내용 포함
- aside : 주로 main content 를 정의 할 경우에 사용
- section : 문서, 프로그램등의 일반적인 섹션 표현
- article : 여러가지 아이템을 묶어 재사용 가능하게 한 그룹화
- footer : 주로 저작권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 정보 등을 기입 하며 페이지 하단 위치
box-sizing
- content-box : 콘텐츠 영역을 기준으로 크기를 정함
- border-box : 테두리 기준을 크기로 정함
- initial : 기본값으로 설정
- inherit : 부모 요소의 속성 값을 상속
border-box 안하면 padding 제외 사이즈가 width 값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디자인이랑 다른 결과물 나올 수 있음
width , height 에 대한 정리
인라인 요소
대표적인 인라인 태그 span 태그 기준
width : 컨텐츠 크기만큼 늘려줌
height : 컨텐츠 크기만큼 늘려줌
블록 요소
대표적인 블록 태그 div
width: 가로요소를 부모의 크기만큼 최대한 늘려줌
height: 세로요소를 컨텐츠 크기만큼 늘려줌
세로 요소에 지정된 값이 없고 컨텐츠 없으면 출력이 안됨.
'etc > HTML-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- 자기 만족 정리 (0) | 2024.11.22 |
---|---|
"<style lang='scss'>" - 관련해서 생긴 이슈 (0) | 2024.09.09 |
GNB·LNB·SNB·FNB 용어에 대해서 (0) | 2024.01.23 |
input type="file" 에서 같은 파일(명) 등록하기 (0) | 2022.11.24 |
[css 이론 및 기본 ] box (Block , Inline, Inline-block) (0) | 2020.12.01 |